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더리움 가격 역사와 도미넌스: 변천사로 보는 투자 전략

by mutantbird 2025. 7. 17.
반응형

이더리움(Ethereum)은 비트코인 다음으로 시가총액이 큰 암호화폐로,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을 통해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범위를 넓히며 주목받아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더리움 가격의 역사적 흐름과 시장 점유율(도미넌스, Dominance)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1. 이더리움의 시작과 초기 가격

이더리움은 2015년 7월에 메인넷(Mainnet)을 가동하며 첫 등장했습니다. 초기 가격은 약 0.3달러(USD) 수준으로 시작됐습니다. 당시에는 비트코인의 그림자에 가려졌지만, 스마트 계약이라는 획기적인 기능으로 기술적 가능성을 인정받기 시작했습니다.

주요 초기 사건:

  • 2016년 DAO 해킹 사건으로 인해 이더리움은 하드포크를 진행했고, 그 결과 이더리움 클래식(ETC)과 분리되었습니다.
  • 이 사건 이후에도 가격은 점차 회복되며 2017년 ICO 열풍과 함께 본격적인 상승세를 탔습니다.

이더리움 가격역사와 도미넌스


 

2. 2017~2018년: ICO 붐과 이더리움의 전성기

2017년은 이더리움의 역사에서 가장 큰 변화를 맞이한 해입니다.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을 발행하며 자금을 모았고, 이에 따라 이더리움의 수요와 가격이 급등했습니다.

  • 2017년 1월: 약 8달러
  • 2017년 6월: 400달러 돌파
  • 2018년 1월: 최고가 1,400달러 기록

이 시기는 이더리움의 도미넌스가 30% 이상으로 상승했던 시기로, 비트코인을 제외한 알트코인 시장에서 절대적인 영향력을 발휘했습니다.

 


3. 2018~2020년: 침체기와 바닥 다지기

ICO 거품이 꺼지며 2018년부터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세로 접어들었습니다. 이더리움 역시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 2018년 말: 80~100달러 수준으로 급락
  • 도미넌스는 10% 아래로 떨어지며 시장 내 영향력 축소

그러나 이 시기 동안에도 이더리움은 2.0 업그레이드, 디파이(DeFi) 생태계 확장 등을 준비하며 기술적인 발전을 지속해 나갔습니다.


4. 2021~2022년: 디파이, NFT 열풍과 ETH 2.0 기대

2020년 중반부터 디파이 프로젝트들이 대거 등장하며 이더리움의 유틸리티가 극대화되었고, 2021년에는 NFT 시장까지 폭발하면서 이더리움 가격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게 됩니다.

  • 2021년 5월: 4,000달러 돌파
  • 2021년 11월: 역대 최고가인 4,878달러 기록
  • 도미넌스는 약 20% 중반까지 회복하며 알트코인의 중심축을 담당

이더리움 2.0(지금의 ‘Ethereum Merge’)에 대한 기대감 역시 투자자들의 신뢰를 높이는 주요 요소였습니다.


5. 2022년 이후: 머지(Merge)와 PoS 전환

2022년 9월, 이더리움은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는 Ethereum Merge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습니다. 에너지 소비를 크게 줄이고, 미래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큰 변화였습니다.

  • 그러나 글로벌 긴축, 테라 사태, FTX 파산 등 여러 악재로 인해 가격은 약 1,000달러~2,000달러 사이를 횡보
  • 도미넌스 역시 17~20%대를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임

6. 2024~2025년 현재: ETF 기대감과 레이어2 확장

2024년부터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기대감, 레이어2(Arbitrum, Optimism 등) 확장, 블롭(blob) 데이터 적용을 통한 데이터 처리 효율화 등 긍정적인 이슈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2025년 7월 기준: 약 3,000~3,500달러 사이를 유지 중
  • 도미넌스는 18~20% 수준

이러한 기술적 업그레이드는 단기적인 가격 상승뿐 아니라 장기적인 네트워크 성장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7. 이더리움 도미넌스란?

이더리움 도미넌스(Ethereum Dominance)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이더리움이 차지하는 시가총액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시장 내 이더리움의 영향력알트코인 투자 심리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도미넌스 상승 시:

  •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선호
  • 리스크 회피 심리 증가
  • 알트코인보다 이더리움에 자금 유입

도미넌스 하락 시:

  • 디파이, NFT, 메타버스 등 특정 섹터 알트코인 강세
  • 시장 내 다양화된 투자 전략 활성화

마무리: 이더리움의 미래와 투자 관점

이더리움은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분산형 애플리케이션의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으며, 블록체인 생태계의 핵심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가격의 역사와 도미넌스 변화를 보면 단기적인 변동성은 존재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술적 진화와 생태계 확장에 따라 성장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투자자라면 단순히 가격만 보는 것이 아니라, 이더리움의 도미넌스 변화, 기술 개발, 온체인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2025.07.07 - 비트코인 연도별 시세 총정리 (2009~2025)

2025.06.23 - 2025년 이더리움 시세 전망 (6월이후)

2025.06.23 - 2025년 솔라나 시세 전망

반응형